목록형 기본게시판
총 35건, 현재페이지 (1페이지 / 총 1페이지)
번호 | 시대별 | 인물명 | 설명 |
---|---|---|---|
35 | 대한민국 |
제정구 (1944∼1999) |
도시빈민의 대변인으로 불리는 빈민운동가 출신의 국회의원으로서 1944년 경남 고성 출생이다. 1966년 서울대 정치학과에 입학하면서 민주화운동에 뛰어... |
34 | 대한민국 |
벽산 김정실 (1904∼1969) |
벽산 김정실 선생은 거류면 은월리 출신으로 가난한 소작인의 아들로서 항상 가난한 이웃을 생각하여 살아오신 분으로 가난한 사람들과 청렴한 공직자로서 한... |
33 | 일제강점기 | 김진만 | 본적은 고성군 고성읍 동외리 93번지 이다. 1913년 3월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이 전국 방방곡곡에 메아리쳐 민족항쟁의 봉화가 오른지 19여일 마침내 ... |
32 | 일제강점기 |
세천 허종택 (洗川 許宗澤) - 독립지사 |
고성군 마암면 장산리의 토호로서 자는 성소(聖昭), 호는 세천(洗川), 본관은 김해이다. 끊임없는 왜세에 시달리면서도 조상 대대로 지속해온 땅을 지키... |
31 | 일제강점기 |
벽산 이덕수 (碧山 李德秀) |
이덕수의 호는 벽산, 본관은 고성이다. 독립운동가로 신흥무관학교 통화분교의 교장을 역임하였고, 1925년 정의부(正義府)를 조직하여 중앙위원으로 있다... |
30 | 일제강점기 |
진형재 행장 (陳亨載 行狀) |
고성군 상리면 오산리 출신으로 형재(亨載)공의 자는 사흥(士興) 본관은 여양(驪陽)이며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인 극경(克敬) 백곡(백谷)선생의 7대 손... |
29 | 일제강점기 |
조선물산운동 정세권 (朝鮮物産運動 鄭世權) |
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태어난 정세권은 일제가 침략하여 식민통치할 때 초대 하이면장으로 임명되어 면치행정(面治行政)을 맡아보았으나 일제의 주구 노릇... |
28 | 일제강점기 |
최정원 (崔正元) - 독립지사 |
본적은 고성군 구만면 화림리 465이다. 기미년 3월 중순 독립선언문을 입수한 최정원과 허재기는 고성 지방 의거를 모의하였고, 한학자 의제 이종홍에게... |
27 | 일제강점기 |
무관학교와 천재환 (武官學校와 千載桓) |
야소교집자(耶蘇敎執者)인 천재환은 1918년 6월경 김영철, 조강제로 하여금 상해와 봉천성(奉天省) 류하현(柳河縣) 신흥학교 또는 독립단에 보내는 일... |
26 | 일제강점기 |
상해가정부 군자금과 구기언 (上海假政府 軍資金과 具奇彦) |
구기언은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401번지 출신으로 상해가정부 군자금 모집에 활약한 유공자이다. 한국시대 후능참봉(厚陵參奉)과 비서승(秘書承)으로 있던... |
25 | 일제강점기 |
초월대선사 백인영 (初月大禪師 白寅榮) |
우리 향토 고성이 낳은 초월선사의 위는 인영(寅榮), 호는 구국당(龜國堂) 수원백씨로 법명은 초월이다. 1878년 2월 17일 경남 고성군 영오면 성... |
24 | 일제강점기 |
노정 배만두 (露丁 裵萬斗) - 독립지사 |
노정 배만두 옹은 한말(韓末)에 국운이 날로 쇠퇴하고 침략자 일제의 야욕은 날로 노골화하여 암운이 감도는 1896년 고성에서 태어났다. 그는 일찍부터... |
23 | 일제강점기 |
임치수 (林致洙) |
당시의 해인사는 대한불교의 교세를 주도하는 사찰이었고 그 무렵의 주지 이회광은 친일파로서 큰 세력을 누리고 있어 해인사 경내에 설치된 해인보통학교 및... |
22 | 일제강점기 |
의열단과 김관제 (義烈團과 金觀濟) |
고성군 개천면 명성리 출신으로 비밀결사인 의열단(義烈團)에서 활약하면서 조선과 일본에 있는 애국지사들과 연락을 취하고 독립자금을 모집하였다. 일본의 ... |
21 | 일제강점기 |
성암 허종덕 (省庵 許宗德) |
고성의 유일한 구한말(舊韓末)의 생존 유학자였던 공은 90세를 일기로 1979년 7월 2일 세상을 떠나셨다. 대대로 살아온 고향 고성군 마암면 장산리... |
20 | 일제강점기 |
의제 이종홍 (毅劑 李鍾弘) - 독립지사 |
이공(1879∼1936)은 함안에서 고성으로 온 이운용 공의 증손(曾孫)으로 본관은 여주이다. 구만면 신계동에서 태어나 재질이 빼어나고 의형(儀形)이... |
19 | 일제강점기 |
석주 이상용 (石州 李相龍) - 독립지사 |
군자금 모집을 지령한 이상용은 안동군인으로 본관은 고성이다. 국치후 남만주로 이주 조국광복 운동에 노력하여 남만주 교포의 자치기관인 부민단(扶民團)을... |
18 | 일제강점기 |
창암 최낙종 (蒼岩 崔洛鍾) - 독립지사 |
호는 창암, 본관은 전주로 1891년 1월 10일 경남 고성군 구만면 화림리 당산에서 최원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. 1919년 고종황제의 인산에 참석하... |
17 | 일제강점기 |
좌해 허재기 (左海 許在基) - 독립지사 |
공의 호는 운섭(云涉)이라 하고 정근공(正根公)의 아들로 1887년 10월 28일 고성군 구만면 저연리 562에서 태어났다. 1910년 경술국치때 그... |
16 | 일제강점기 |
근원 윤영백 (根源 尹永百) - 독립지사 |
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삼천포 장씨 묘각에 은거하던 무렵인 1913년에 망국의 한을 품고 민족 얼을 찾겠다는 큰 뜻으로 이민하는 사람들 틈에 끼어 만주... |
15 | 일제강점기 |
남계 강영순 (南溪 姜永淳) |
공은 1883년 2월 12일 고성군 영오면 영산리 601번지에서 태어나 자랐으며, 진주강씨로 은열공(殷烈公)의 30세손이다. 나이 7세부터 서당에서 ... |
14 | 일제강점기 |
정주홍의 농민군 (鄭周弘의 農民軍) |
용암(勇菴) 정주홍 공은 진양정씨 시양(時陽)의 30세손으로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태어났다. 어릴적부터 기골이 장대하였고 성장됨에 따라 사람을 사... |
13 | 일제강점기 |
서비 최우순 (西扉 崔宇淳) - 독립지사 |
서비(西扉)공은 효자 이형(耳亨) 필홍의 손자이고 최백진의 아들로서 순조 임진년 1883년 6월 22일 고성군 하일면 학림리 학동의 명문 전주 최씨의... |
12 | 조선시대 | 의숙공 최강 | 조선 중기 장군인 의숙공 최강은 선조 18년(1585년) 무과에 급제한 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, 형 균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성, 진해 ... |
11 | 조선시대 |
김종범 (金鍾範) |
서기 1750년(영조(英祖) 26년 ∼ ?) 에 태어나고 본관은 김녕(金寧)이다. 서기 1777년 구선장(龜船將)을 거처 산성중군(山城中軍) 당동둔(... |
10 | 조선시대 |
박애상 (朴愛詳) |
고성인(固城人)이고 본관(本貫)은 죽산(竹山)이다. 자(字)는 희도(希度)요 호(號)는 운정(雲汀)이다. 진주, 반성, 함안 등지에서 왜적(倭賊)을 ... |
9 | 조선시대 |
이덕상 (李德祥) |
고성군 삼산면 미룡리 대밭골 출신이다 본관(本貫)은 고성(固城)이다. 키가 크고 건장한 분으로 귤도(橘島)로 침입하여 노략질을 일삼던 왜적을 조응도와... |
8 | 조선시대 |
정확 (鄭廓) |
정확(鄭廓)은 우리군 회화면 삼덕리 남진에서 출생하였으며, 본관은 진양(晋陽)이다. 선조 18년(서기 1585년)에 무과(武科)에 등과(登科)하여 훈... |
7 | 조선시대 |
운포 이달 (李達) |
본관은 함안이며, 자(字)는 명숙(明淑)이다. 고조는 의형(義亨) 사헌부집의(司憲府執義)를 지내고 증조인 후(후)가 생원이었고 조(祖)는 참봉이었던 ... |
6 | 조선시대 | 제말장군(의병장) | 제말장군의 부는 첨지중추부사 제조겸이고, 모는 공주황씨로서 가정정묘(嘉靖丁卯) 서기 1567년에 출생하였고, 장성하여 무과에 급제 무인전통의 가문을 ... |
5 | 조선시대 | 의공 소호 최균 | 조선의 의병장으로 자는 여평 호는 소호이다. 전주최씨 입고성 시조로서 주역과 천문지리에 통달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동생 최강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풍... |
4 | 고려시대 |
혜문대선사 (∼1235) |
고려 때의 승려로 속성은 남씨이며 자는 빈빈이다. 보림사에서 20여 년 간 참구하여 대선사가 되고 운문사에서 3년동안 무위법을 설하고 입적, 구산문 ... |
3 | 고려시대 |
문열공 도촌 이교 (∼1361) - 문정공의 동생 |
이교의 호는 도촌으로,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, 공민왕 때 형부상서로서 천추사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. 이들의 가문은 당시 왕실과 ... |
2 | 고려시대 |
각진국사 (1270∼1355) |
속명은 이복구로 승려가 된지 오래지 않아 스승 천영이 입적하였으나, 천영의 유언으로 당대의 대선사 도영을 찾아 사사하였다. 도영을 따라 십년을 공부하... |
1 | 고려시대 |
문정공 행촌 이암 (1297∼1364) |
이암의 호는 행촌으로 고려 충선왕 5년(1313) 과거에 급제하여 비성교감에 임명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도관정랑이 되었다. 이후 충혜왕∼충목왕 대까... |